매거진 퍼즐
비오틴
비오틴
비오틴은 두 개의 고리와 황을 함유하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비오틴과 비오시틴의 형태가 있습니다. 비오틴은 포도당, 지방산, 아미노산 대사에서 중요한 조효소로 작용합니다.

비오틴 기능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대사와 에너지 생성에 필요: 비오틴은 포도당, 지방산, 측쇄 아미노산 대사에서 작용하는 4가지 카복실 라아제(아세틸-CoA 카복실라아제, 피루브산 카복실라아제, 프로피오닐-CoA 카복실라아제, 3-메틸크로토닐-CoA 카복실라아제)의 조효소로서 작용합니다.
비오틴 결핍
비오틴 결핍증은 매우 드물지만, 비오틴의 흡수를 방해하는 아비딘이 함유된 달걀 흰자를 날 것으로 과량 섭취하거나 지속적으로 비오틴 함량이 낮은 식사를 하는 경우, 유전적으로 비오틴 분해 효소가 부족한 경우, 장기간 정맥주사를 통한 영양지원을 받는 경우 등에서 비오틴 결핍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비오틴이 결핍되면 비늘이 일어나는 붉은 피부발진, 탈모, 식욕상실, 우울증, 설염 등의 증세가 나타납니다.
비오틴 급원 식품
비오틴은 다양한 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나 함유량은 일반적으로 낮습니다. 비오틴은 대두, 계란 난황, 간, 견과류, 효모, 버섯, 밀 등과 같은 식품에 주로 함유되어 있습니다.
[참고 자료]
1. 변기원 외. 영양소 대사의 이해를 돕는 고급 영양학. 교문사. 2021.
2.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3. Mock D, Matthews N. Biotin and panththenic acid. Edtion ed. In: Stipanuk M, Caudill M, eds. Biochemical, Physiological, and Molecular Aspects of Human Nutrition. St. Louis: Elsevier, 2013:610-25.
4. McMahon RJ. Biotin in metabolism and molecular biology. Annu Rev Nutr 2002;22:221-39. doi: 10.1146/annurev.nutr.22.121101.112819.
글 뉴트리원 마이퍼즐팀
※ 본 콘텐츠는 올바른 건강정보를 나누기 위함이며, 특정 제품의 효능·효과에 대한 내용이 아닌 성분에 대한 건강정보입니다.
* 본 컨텐츠의 저작권은 (주)뉴트리원에게 있습니다.